맨위로가기

파브리스 루치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브리스 루치니는 프랑스의 배우로, 이탈리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성장했다. 1969년 영화 데뷔 이후 에릭 로메르, 클로드 샤브롤 등 다양한 감독의 작품에 출연하며 경력을 쌓았다. 2015년 영화 《법정》으로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연극 무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문학 작품 낭독 공연을 통해 독특한 어조와 문학적 지식을 선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피컵 수상자 - 리버 피닉스
    리버 피닉스는 1970년에 태어나 1980년대부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에 출연했고, 밴드를 결성하여 음악 활동을 했으며, 동물 권리 및 환경 운동에도 참여하다가 1993년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다.
  • 볼피컵 수상자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앙드레 부르빌
    앙드레 부르빌은 프랑스의 배우, 가수, 작곡가로서, 다양한 직업을 거쳐 보드빌리언으로 활동하다 영화에 데뷔, 루이 드 퓨네스와 코미디 명콤비로 인기를 얻고,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영화 출연 및 300여 곡의 노래를 작곡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프랑스의 남자 연극 배우 - 닐스 아레스트뤼프
    프랑스의 배우이자 연출가인 닐스 아레스트뤼프는 197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영화와 연극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세자르상 남우조연상과 모리에르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2024년 12월 1일에 사망했다.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 - 쥘 비앙키
    프랑스 자동차 경주 선수 쥘 비앙키는 다양한 주니어 포뮬러 시리즈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고 2013년 마루시아 F1 팀에서 활동하며 2014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팀 최초 포인트를 획득했으나, 같은 해 일본 그랑프리 사고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 - 마리 안 망시니
    마리 안 망시니는 마자랭 추기경의 조카로서 프랑스 궁정에서 살롱을 운영하며 문인들을 후원하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남편 독살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루이 14세의 관대한 처분으로 사회에 복귀한 후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망한 17세기 프랑스의 문화 후원자이다.
파브리스 루치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6년 칸 영화제에서의 파브리스 루키니
2016년 칸 영화제에서의 루키니
본명로베르 뤼키니
출생일1951년 11월 1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직업배우
활동 기간1969년–현재
수상
세자르상 조연 남우상1993년, 《Tout ça... pour ça!》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2015년, 《어떤 여자》

2. 생애 및 경력

이탈리아 아시시[1] 출신의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 파리 18구의 구트 도르 인근에서 성장했다. 그의 부모는 파리에서 채소 장사를 했다. 13세 때 어머니의 권유로 미용실 견습생이 되었고, 이때 '파브리스'라는 예명을 얻었다.

디스코에서 필립 라브로 감독의 눈에 띄어 1969년 영화 ''Tout peut arriver''로 데뷔했다.[1] 1970년 에릭 로메르 감독의 ''클레르의 무릎''에 출연한 것을 시작으로 로메르 감독과 여러 작품에서 협업하며 배우로서 경력을 쌓았다. 이후 발레리안 보로프치크, 오시마 나기사, 클로드 샤브롤, 클로드 를루슈, 세드릭 클라피쉬, 에두아르 몰리나로 등 다양한 감독들의 영화에 출연하며 프랑스의 주요 배우로 활동했다.

그는 세자르상에 6번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1993년 영화 ''Tout ça... pour ça!''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1] 2015년에는 영화 ''법정''에서의 연기로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

영화 외에도 다수의 연극 무대에 출연했으며, 독특한 어조로 진행하는 낭독 공연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장 드 라 퐁텐, 니체, 루이페르디낭 셀린 등의 문학 작품 낭독이 유명하며, 이러한 문학적 지식은 그가 독학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인터뷰에서도 종종 작가철학자의 말을 인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 모습을 보인다.

2. 1. 초기 생애

파브리스 루치니는 이탈리아 아시시[1] 출신의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파리에서 채소와 과일을 파는 상인이었으며, 루치니는 파리 18구의 구트 도르 인근에서 자랐다. 그의 본명은 로베르 루치니였다.

13세 때, 어머니의 권유로 파리 아브뉘 마티뇽에 위치한 유명 미용실에서 견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미용사의 아들 이름을 따 '파브리스'라는 예명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 이름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는 디스코에서 우연히 영화감독 필립 라브로를 만나게 된 것을 계기로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1969년, 필립 라브로 감독의 영화 ''Tout peut arriver''에 출연하며 처음으로 영화 연기를 경험했다. 이듬해인 1970년에는 에릭 로메르 감독의 영화 ''클레르의 무릎''에서 청소년 역할을 맡으며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후 로메르 감독의 ''페르시발 르 갈루아''와 ''보름달 밤'' 등 여러 작품에 연이어 출연하며 인연을 이어갔다.

초기 경력 동안 그는 발레리안 보로프치크, 오시마 나기사, 클로드 샤브롤, 클로드 를루슈, 세드릭 클라피쉬, 에두아르 몰리나로 등 다양한 감독들의 영화에 출연하며 경험을 쌓았다. 1990년에는 크리스티앙 뱅상 감독의 영화 ''라 디스크레트''에 출연했다.

2. 2. 영화 경력

파브리스 루치니는 디스코에서 필립 라브로 감독에게 발탁되어 1969년 영화 ''Tout peut arriver''로 데뷔했다.[1] 이듬해 에릭 로메르 감독의 ''클레르의 무릎''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로메르 감독과 여러 작품에서 협업했다. 이후 다양한 감독들의 영화에 출연하며 프랑스의 주요 배우로 활동했으며, 1993년 세자르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하고[1] 2015년에는 ''법정''으로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받는 등[2]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2. 2. 1. 에릭 로메르와의 협업

1970년 필립 라브로 감독의 영화로 데뷔한 후, 같은 해부터 에릭 로메르 감독의 작품에 자주 출연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초기 협업 작품으로는 클레르의 무릎(1970)이 있다.

2. 2. 2. 다양한 작품 활동

디스코에서 필립 라브로 감독의 눈에 띄어 1969년 그의 영화 ''Tout peut arriver''로 영화계에 데뷔했다.[1] 1970년에는 에릭 로메르 감독의 영화 ''클레르의 무릎''에서 청소년 역을 맡았으며, 이후 로메르 감독의 ''페르시발 르 갈루아''와 ''보름달 밤'' 등 여러 작품에 출연하며 인연을 이어갔다.

이후 발레리안 보로프치크, 오시마 나기사, 클로드 샤브롤, 클로드 를루슈, 세드릭 클라피쉬, 에두아르 몰리나로 등 여러 감독의 영화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활동을 펼쳤다. 1990년에는 크리스티앙 뱅상 감독의 영화 ''라 디스크레트''에 출연했다.

그는 세자르상에 총 6번 후보로 올랐으며, 1993년 영화 ''Tout ça... pour ça!''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영화 ''법정''에서의 역할로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

영화 외에도 다수의 연극 무대에 올랐으며, 독특한 어조로 진행하는 낭독 공연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장 드 라 퐁텐(CD로도 발매됨), 니체, 루이페르디낭 셀린의 ''밤의 끝으로의 여행'' 등을 소극장에서 낭독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인터뷰에서도 종종 작가철학자의 말을 인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데, 이러한 문학적 지식은 그가 독학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2. 2. 3. 수상 경력

2015년 영화 ''법정''에서의 역할로 그는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2]

연도시상식후보작결과
1985세자르상 남우조연상파리의 밤후보
1991프리 장 가뱅부끄러움수상
세자르상 남우주연상후보
1993세자르상 남우조연상카사노바의 귀환후보
1994세자르상 남우조연상모두 이래서... 그래!수상
1995세자르상 남우조연상코르넬 샤베르후보
1997세자르상 남우주연상보마르셰후보
2002프리 뒤 브리지에노크수상
2007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남우주연상몰리에르수상
2008세자르상 남우조연상후보
2013세자르상 남우주연상그 집후보
유러피언 영화상 남우주연상후보
2014세자르상 남우주연상몰리에르와 함께 자전거 여행후보
크리스탈 글로브상 남우주연상후보
2015볼피컵 남우주연상법정수상
2016세자르상 남우주연상후보
뤼미에르상 남우주연상후보
2017세자르상 남우주연상슬랙 베이후보
2020크리스탈 글로브상 남우주연상 - 코미디앙리 픽의 미스터리후보
뤼미에르상 남우주연상앨리스와 시장후보


2. 3. 연극 및 낭독

루치니는 영화 외에도 무대에서 수많은 작품에 출연하며 연극 배우로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특히 그는 독특한 어조로 진행하는 낭독 공연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장 드 라 퐁텐의 작품 낭독은 CD로 발매되기도 했으며, 니체루이페르디낭 셀린의 소설 '밤 끝으로의 여행' 등 문학 작품을 소극장에서 낭독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인터뷰에서는 종종 작가철학자의 말을 인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데, 이러한 깊이 있는 문학적 지식은 그가 독학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2. 4. 문학 활동

파브리스 루치니는 독특한 어조로 하는 낭독에서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장 드 라 퐁텐(CD로도 발매됨), 니체, 루이페르디낭 셀린의 '밤 끝으로의 여행' 등을 소극장에서 낭독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깊이 있는 문학적 지식은 그가 독학으로 쌓아 올린 것이다. 그는 인터뷰에서도 종종 작가철학자의 말을 인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펼치는 모습을 보인다.

구체적인 문학 관련 활동은 다음과 같다.

  • 2010년: 두 권의 책에 서문을 썼다.
  • * Editions Oxus에서 출판한 『사샤 기트리와의 만남』
  • * Presses de la Renaissance에서 출판한 로랑 테르지에프의 『모두와 함께』
  • 2011년: les Cahiers d'histoire de la philosophie (Editions du Cerf)에서 출판한 필리프 뮈레의 책 작업에 참여했다.
  • 2011년: Audiolib을 통해 『파브리스 루치니, 롤랑 바르트의 『연인의 담론』 조각들을 읽다』 오디오북을 발매했다.
  • 2012년: Barclay / Universal Music France 레이블로 『변주곡(라 퐁텐 & 보들레르)』 CD 및 DVD를 발매했다.

3. 사생활

아시시[1] 출신의 이탈리아 이민자 가정에서 채소 장수로 일하는 부모님 아래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파리 18구의 구트 도르 인근에서 자랐다. 13세 때 어머니에 의해 아브뉘 마티뇽의 한 미용실 견습생이 되었고, 이때 본명인 로베르 대신 파브리스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유머러스하고 독특한 말투와 몸짓으로 유명하며, 종종 성대모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스스로 여성을 좋아한다고 밝히며 방송 등에서 여성을 칭찬하는 말을 자주 하지만, 실제로는 여성에게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여 독신으로 지내고 있다.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으나 자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루치니 본인은 자녀와의 관계가 "양호하며 보통의 부자 관계"라고 언급한 바 있다.

소울 뮤직, 특히 제임스 브라운의 열렬한 팬으로, 공개 석상에서 제임스 브라운의 성대모사를 하기도 한다.

4. 출연 작품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정보를 제공하므로 중복 서술을 피함)

4. 1. 영화

}

| 파브리스

| 필립 라브로

|

|-

| 1970

| 클레르의 무릎

| 뱅상

| 에릭 로메르

|

|-

| 1973

| Valparaiso, Valparaiso|프랑스어

|

| 파스칼 오비에

|

|-

| 1974

| 부도덕한 이야기

| 앙드레

| 발레리안 보로브치크

|

|-

| 1975

| Ne|프랑스어

| 파브리스

| 자크 리샤르

|

|-

| rowspan=2| 1976

| Vincent mit l'âne dans un pré (et s'en vint dans l'autre)|프랑스어

| 뱅상 베르뉴

| 피에르 주카

|

|-

| Les écrans déchirés|프랑스어

| 파브리스

| 자크 리샤르

| 단편

|-

| 1978

| 비올레트 노지에르

| 카뮈

| 클로드 샤브롤

|

|-

| 1979

| 페르스발 르 갈루아

| 페르스발

| 에릭 로메르

| 원작: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성배 이야기

|-

| 1980

| Même les mômes ont du vague à l'âme|프랑스어

| 아르튀르

| 장-루이 다니엘

|

|-

| rowspan=2| 1981

| 비행사의 아내

| 메르실라

| 에릭 로메르

|

|-

| La forêt désenchantée|프랑스어

|

| 자크 로비올

| 단편

|-

| rowspan=2| 1982

| T'es folle ou quoi ?|프랑스어

| 장-프랑수아 세브랑

| 미셸 제라르

|

|-

| Jimmy Jazz|프랑스어

| 파브리스

| 로랑 페랭

| 단편

|-

| rowspan=2| 1983

| Zig Zag Story|프랑스어

| 밥 헴러

| 패트릭 슐만

|

|-

| Il ne faut jurer de rien|프랑스어

| 파브리스

| 크리스티앙 뱅상

| 단편

|-

| rowspan=2| 1984

| 엠마누엘 4

| 오스왈도

| 프란시스 레로이 & 아이리스 레탄

|

|-

| 만월의 밤

| 옥타브

| 에릭 로메르

|

|-

| rowspan=2| 1985

| 교사들

| 미셸

| 패트릭 슐만

|

|-

| Rouge-gorge|프랑스어

| 프레데릭

| 피에르 주카

|

|-

| rowspan=3| 1986

| 가족 사업

| 수상한 변호사

| 코스타 가브라스

|

|-

| 막스, 나의 사랑

| 니콜라

| 오시마 나기사

|

|-

| Triple sec|프랑스어

|

| 이브 토마스

| 단편

|-

| rowspan=3| 1987

| 파라다이스 호텔

| 아르튀르

| 야나 보코바

|

|-

| Les oreilles entre les dents|프랑스어

| 뤽 파브리

| 패트릭 슐만

|

|-

| 레네트와 미라벨의 네 모험

| 미술상

| 에릭 로메르

|

|-

| rowspan=2| 1988

| La couleur du vent|프랑스어

| 세르주

| 피에르 그라니에-페레

|

|-

| Alouette, je te plumerai|프랑스어

| 자크

| 피에르 주카

|

|-

| rowspan=2| 1990

| 위험한 관계

| 조르당

| 클로드 베리

|

|-

| 라 디스크레트

| 앙투안

| 크리스티앙 뱅상

|

|-

| rowspan=2| 1992

| 아무것도 아닌 것

| 르쁘띠

| 세드릭 클라피쉬

|

|-

| 카사노바의 귀환

| 카미유

| 에두아르 니에르망

|

|-

| rowspan=3| 1993

| Toxic Affair|프랑스어

| 분석가

| 필로멘 에스포지토

|

|-

| 그것을 위해서 !

| 파브리스 레노르망

| 클로드 를루슈

|

|-

| 나무, 시장, 그리고 미디어 센터

| 마르크 로시뇰

| 에릭 로메르

|

|-

| 1994

| 코넬 샤베르

| 데르빌

| 이브 앙젤로

|

|-

| 1995

| L'année Juliette|프랑스어

| 카미유 프라데르

| 필리프 르 게이

|

|-

| rowspan=2| 1996

| 보마르셰

| 피에르 보마르셰

| 에두아르 몰리나로

|

|-

| 남과 여: 사용자 설명서

| 파비오 리니

| 클로드 를루슈

|

|-

| rowspan=2| 1997

| 가드

| 곤자그

| 필리프 드 브로카

|

|-

| 순수한 공기

| 마그누스

| 이브 앙젤로

|

|-

| rowspan=2| 1999

| 노 스캔들

| 그레고르 장쿠르

| 브누아 자코

|

|-

| 로베르에겐 아무것도

| 디디에 템플

| 파스칼 보니처

|

|-

| 2001

| Barnie et ses petites contrariétés|프랑스어

| 바니

| 브루노 시체

|

|-

| 2003

| 삶의 대가

| 브렛

| 필리프 르 게이

|

|-

| 2004

| 친밀한 타인들

| 윌리엄

| 파트리스 르콩트

|

|-

| 2005

| La cloche a sonné|프랑스어

| 시몽 아르코스

| 브루노 에르불로

|

|-

| 2006

| 장-필립

| 파브리스

| 로랑 튀엘

|

|-

| 2007

| 몰리에르

| M. 조르댕

| 로랑 티라르

|

|-

| rowspan=3| 2008

| 파리

| 롤랑 베르누이

| 세드릭 클라피쉬

|

|-

| 박물관에서의 하루

| 경비원

| 장-미셸 리브

|

|-

| 모나코에서 온 소녀

| 베르트랑 보부아

| 앤 퐁텐

|

|-

| 2009

| Points de vue|프랑스어

| 내레이터

| 요나 프리드먼

| 단편

|-

| rowspan=2| 2010

| 포티쉬

| 로베르 푸졸

| 프랑수아 오종

|

|-

| 우리 아버지의 손님들

| 아르노 포멜

| 안 르 니

|

|-

| 2011

| 6층의 여인

| 장-루이 주베르

| 필리프 르 게이

|

|-

| rowspan=2| 2012

| 인 더 하우스

| 제르맹 제르맹

| 프랑수아 오종

|

|-

| 아스테릭스 2: 미션 파리

| 율리우스 카이사르

| 로랑 티라르

|

|-

| 2013

| 몰리에르와 자전거 타기

| 세르주 타뇌르

| 필리프 르 게이

|

|-

| rowspan=2| 2014

| 젬마 보베리

| 마르탱 주베르

| 앤 퐁텐

|

|-

| Charly|프랑스어

| 파브리스

| 조르당 루센테

| 단편

|-

| rowspan=2| 2015

| 코트

| 미셸 라신

| 크리스티앙 뱅상

|

|-

| Un début prometteur|프랑스어

| 프란시스 보벨

| 엠마 루치니

|

|-

| 2016

| 슬랙 베이

| 앙드레 반 페테겜

| 브루노 뒤몽

|

|-

| rowspan=2| 2018

| 서두르는 남자

| 알랭 바플러

| 에르베 미므란

|

|-

| 파리의 황제

| 조제프 푸셰

| 장-프랑수아 리셰

|

|-

| rowspan=4| 2019

| 잔 다르크

| 샤를 7세

| 브루노 뒤몽

|

|-

| 앨리스와 시장

| 폴 테라노

| 니콜라 파리제

|

|-

| 가장 좋은 것은 아직 오지 않았다

| 아르튀르 드레퓌스

| 마티외 드라포르트 &
알렉상드르 드 라 파텔리에르

|

|-

| 앙리 픽의 미스터리

| 장-미셸 루슈

| 레미 베장송

|

|-

| rowspan=3| 2023

| La petite|프랑스어

| 조제프 시프리앙

| 기욤 니클루

|

|-

| 범죄는 나의 것

| 귀스타브 라뷔세

| 프랑수아 오종

|

|-

| Un homme heureux|프랑스어

| 장 르로이

| 트리스탄 세겔라

|

|-

| rowspan=2| 2024

| 엠파이어

| 벨제뷔트

| 브루노 뒤몽

|

|-

| 마르첼로 미오

| 파브리스

| 크리스토프 오노레

|

|}

4. 2. 텔레비전

연도제목배역감독비고
1969{{lang|fr|Tout peut arriver|}
연도제목배역감독비고
1979라 셰느로랑클로드 상텔리TV 영화
1980팡토마보나르댕후안 루이스 부뉴엘 & 클로드 샤브롤TV 미니시리즈
1981르 보 몽드장-피에르 다비에미셸 폴락TV 영화
1986투 앙 보아트미니맥스샤를르 네메스TV 미니시리즈
누아르 시리즈코왈모리스 드고손TV 시리즈 (1 에피소드)
1988라르장 뒤 뮈베른트장-프랑수아 들라쉬TV 영화
누아르 시리즈파스토르이브 부아세TV 시리즈 (1 에피소드)
1989레 뉘 레볼뤼소네르르 위그노샤를르 브라방TV 미니시리즈
1990식스 크림 썡 아사생시몽 람피아스베르나르 스토라TV 영화
1994느 마펠 파 마 프티트티에리장 베케르TV 영화
1998아트세르주이브-앙드레 위베르TV 영화
2017나를 불러요!본인로랑 티라르TV 시리즈 (1 에피소드)
2023클래스 액트마르셀 루아조트리스탕 세겔라TV 미니시리즈


4. 3. 연극

연도작품명
1978고도를 기다리며
1979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
1982모든 색깔로부터
1986밤의 끝으로의 여행
1986야경꾼
1986우연의 왈츠
1987비밀
1987밤의 끝으로의 여행
1988밤의 끝으로의 여행
1989전기의 광기
1990유령을 위한 두 여자 와 베이비시터
1991사냥 협회
1993파트너
1994«예술»
1996파브리스 루치니가 보들레르, 빅토르 위고, 라 퐁텐, 니체의 글을 낭독
1996단순한 마음
2000뉴욕 도착
2002내 친구에게 귀 기울여봐 (그리고 루이 쥐베의 다른 글들)
2002노크, 혹은 의학의 승리
2005파브리스 루치니가 라 퐁텐, 니체, 루이페르디낭 셀린, 보들레르의 글을 낭독
2005몰리
2006, 2007, 2008, 2009로버트에 대한 관점
2010, 2011, 2012파브리스 루치니가 필립 뮈레를 낭독
2011라 퐁텐
2013평온한 한 시간


참조

[1] 웹사이트 L'énigme Luchini http://www.lexpress.[...] 2015-05-27
[2] 웹사이트 LIVE: The winners of the 72nd Venice Film Festival http://cineuropa.org[...] 2015-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